본문 바로가기

LEARN/ENGLISH VIDEOS

여성 속옷 브랜드, 빅토리아 시크릿의 성공과 추락

빅토리아 시크릿

섹시한 란제리 브랜드 하면 떠오르는 빅토리아 시크릿. 그런데 빅토리아 시크릿의 상황이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한 시간 가량 미국 전역에 방송되었던 빅토리아 시크릿 패션소는 2001년에 시작되어 매해 새로운 속옷을 선보였습니다. 그러나 2018년에 방송된 패션쇼가 마지막 방송이 되었고, 2019년 11월에는 패션쇼를 완전히 폐지했죠. 

 

빅토리아 시크릿 쇼의 시청률은 화제성이 떨어지면서 수년간 감소했고, 모회사인 L브랜즈 주가의 급격한 하락으로 빅토리아 시크릿도 힘든 상황을 겪고 있죠. 

 

여성 패션에서 우위를 차지했던 빅토리아 시크릿이 어떻게 성공했으며, 또 왜 브랜드 명성이 추락하고 있는지 이번 포스팅에서 다뤄보겠습니다. 

 

빅토리아 시크릿의 성공 

 

1982년 L브랜즈의 회장 레스리 웩스너 Leslie Wexner는 당시 6개 지점으로 이루어진 작은 소매업이었던 빅토리아 시크릿을 백만 달러에 사들였습니다. 초기 빅토리아 시크릿은 로이 레이먼트가 설립했으며, 연인, 아내에게 속옷을 선물하려는 남자들을 위한 매장이라는 콘셉트이었습니다. 그러나 레스리 웩스너가 빅토리아 시크릿을 사들이면서 브랜드 이미지는 섹시함을 강조한 여성 브랜드로 바뀌었습니다. 

 

빅토리아 시크릿의 '빅토리아'는 영국과 프랑스계의 혼혈로, 섹시하고 당당한 도시 여성이라는 가상의 캐릭터고요. 

 

1990년대 중반, 빅토리아 시크릿은 패드가 잔뜩 들어가서 여성의 가슴골이 두드러지도록 디자인된 미라클 브라 Miracle Bra를 선보였습니다. 현재는 다양한 속옷 라인이 있고, 특히 섹시함을 폭발적으로 증폭시킨다는 이름의 밤쉘 Bombsell 라인이 인기죠. 빅토리아 시크릿 패션쇼에 서는 깡마른 모델들이 가슴 발육은 남달라 보이는 이유도, 엄청난 볼륨을 만들어내는 푸쉬업 브라 덕도 있습니다. 

 

빅토리아 시크릿은 도발적인 TV 광고를 집중해서 내보였고, 1995년에는 첫 패션쇼를 론칭했습니다. 섹시함이란 무엇인지, 섹시한 여성은 어떤 모습인지에 대해서 정의 내리려고 했고, TV 광고에서도 빅토리아 시크릿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미녀를 보여줬습니다. 평균 키 177.8cm, 체중 50.8kg, 허리둘레 24인치인 정형화된 가슴 크고 마른 백인의 미녀였죠. 이러한 이미지 구축은 마케팅 책임자인 에드 라젝 Edward Razek이 만들어냈고, 그는 패션쇼에 설 모델을 캐스팅하는 역할도 담당했습니다. 

 

2000년 전반에 레즈리 웩스너는 다른 의류 브랜드들은 매각한 후 속옷과 뷰티 라인에 더 집중했습니다. 2004년에는 빅토리아 시크릿의 파생 브랜드인 핑크 PINK를 론칭해서 10대를 겨냥했습니다. 2008년 경기 불황 이후, 다른 많은 소매업들과는 달리 빅토리아 시크릿은 꾸준히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더 많은 지점을 열었고, 사업을 확장하면서 L브랜즈의 주가는 2016년까지 계속해서 올랐습니다. 

 

빅토리아 시크릿의 추락

 

그러나 소비자들의 취향이 변하기 시작하면서 브랜드도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습니다. 일상에서 입을만한 운동복, 애슬레저 룩이 패션업계를 장악하기 시작했고, 푸쉬업 브라 이미지가 강한 빅토리아 시크릿의 매출은 감소했습니다. 주 구매층인 여성들의 인식 변화를 빅토리아 시크릿은 캐치하지 못했습니다. 

 

젊은 여성들은 언더 와이어나 패드가 들어가있지 않은 스포츠 브라나 브라렛을 선호했습니다. 성적으로 남성에게 어필하는 이미지가 20~30대 여성의 거부감을 키웠고, 가슴 크고 아름다운 백인 미녀의 이미지가 더 이상 통하지 않았죠. 아름다운 슈퍼 모델이 입은 브라를, 단지 남자의 취향을 맞추기 위해서 7만 원 정도를 지불하고 구매하고 싶어 하지 않아 했죠. 좀 더 사실적인 마케팅 홍보와 자연스러운 룩, 편안하게 고안된 속옷을 선호했습니다. 

 

2016년 레슬리 웩스너는 빅토리아 시크릿을 직접 지휘하면서 수영복 라인을 없애고 카탈로그 발행을 중단했습니다. 그리고 스포츠 브라 제작에 집중했고요. 그러나 그럼에도 2018년 L브랜즈의 주가는 50%이상 떨어졌습니다. 

 

빅토리아 시크릿은 에드 라젝이 보그지에 대놓고 살집있는 여성, 트랜스젠더 모델은 패션쇼에 서면 안 된다고 말한 이후 거센 비난을 받았습니다. 그는 자신의 발언에 대해 사과를 해야만 했고, 결국 2019년 사임했습니다. 

 

빅토리아 시크릿 내부에 만연해 있는 여성 혐오, 성적 괴롭힘 문화와 운영 방식도 논란이 되었습니다. 에드 라젝이 사임하고 난 후 일부 모델들이 자신이 그에게 성희롱을 받았다고 고발했죠. 

 

또한 레슬리 웩스너는 성범죄자인 제프리 엡스타인 Jefrey Epstein과의 친분으로 비난을 받았습니다. 제프리 엡스타인은 레즐리 웩스너의 재산을 관리해온 인물로, 어린 모델을 빅토리아 시크릿 모델로 키워주겠다고 속인 후 성폭행을 시도했죠. 레슬리 웩스너는 제프리 엡스타인이 아동 성매매로 기소된 이후 그와 연을 끊었다고 밝혔지만, 2019년 제프리 엡스타인이 같은 문제로 또다시 체포되면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빅토리아 시크릿이 거물들에게 캐스팅한 미녀와 미성년자 모델을 팔아넘기는 일에 연류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죠. 

 

이에 대해 레슬리 웩스너는 뉴욕타임스지에 이 혐의는 '명백히 사실이 아니고, 잘못 해석되었거나 뜬금없는 것'이라 해명했습니다. 

 

2016년 포브스지는 빅토리아 시크릿의 사업 실패를 에측하기도 했습니다. 예쁘지만 건방진 킹카/퀸카로 어필하는 마케팅 방식이 시대 변화에 더 이상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말입니다.  

 

2019년 9월 새로운 CEO가 영입되면서 백인 미녀 모델에서 탈피해 다양한 피부색, 다양한 체형의 여성 모델을 고용했습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여전히 빅토리아 시크릿에 대해 굳어진 이미지를 가지고 있죠. 기존 남성의 판타지를 만족시키기 위해, 섹시해지려 노력해야 하는 여성의 콘셉트는 오늘날 주 소비층인 여성들에게 반감을 사고 있고요. 빅토리아 시크릿이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변화할 수 있을지 지켜보는 것도 재밌겠네요. 

 

 

 

 

 


이번 포스팅은 월스트릿저널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참고한 영어 영상, 영어 스크립트 및 단어 정리해 두었습니다.

그럼 오늘도, 하루에 하나 유튜브 영어 공부 함께해요! 😎

 


Step 1. 영어 자막 없이 영상 보기

 

 

How Victoria’s Secret Lost Its Grip – WSJ (2020.02.19)

Step 2. 영어 자막 보면서 표현, 단어 익히기 → 집중적으로 의미 파악 

 

How Victoria’s Secret Lost Its Grip

This is the 2018 Victoria’s Secret Fashion Show. The hour-long nationally-televised event has served as a showcase for the brand’s bras and lingerie since 2001, but 2018 was the fashion show’s last broadcast.
The show had suffered several years of declining ratings that coincided with the drastic rise then fall of the stock price of Victoria’s Secret parent company, L Brands.

Here’s how the lingerie retailer, Angels and all, rose to the top of women’s fashion and how its fall from grace has created an uncertain future for the company.

In 1982, L Brands owner Leslie Wexner acquired Victoria’s Secret, a small retailer consisting of six stores and a catalog for $1 million. Wexner developed many successful retail businesses in the 1980s and ‘90s.

“He popularized the specialty mall retailer, which had tightly-focused product lines and carefully-designed stores, and he took those stores and rolled them out to malls across the country. That model really upended the department store model.”

In the mid 1990s, Victoria’s Secret’s heavily-padded Miracle Bra, designed to create cleavage, was vying for market share with its competitor, the WonderBra.

“Only Victoria’s Secret has the Miracle Bra. Get a Miracle Bra.”

Victoria’s Secret doubled down on ads with provocative TV commercials and launched its first fashion show in 1995.

“Victoria’s Secret tried to define what sexy was and what a sexy woman should look like, and you can really see by the ads that they were pushing a very specific beauty ideal. That image was executed by L Brands Chief Marketing Officer Edward Razek, who was put in charge of casting models for the fashion show.”

Throughout the 2000s, Leslie Wexner sold many of his apparel brands and focused more and more on his lingerie and beauty lines. This included launching PINK in 2004, a Victoria’s Secret spinoff for teens.

Unlike many other retailers, Victoria’s Secret continued to grow after the 2008 recession. The retailer opened more stores and sales expanded, and L Brands stock price rose until 2016.

“That’s when you really started to see trouble for the company as consumer tastes started to shift.”

Athleisure began to dominate fashion and growth began to slow in Victoria’s Secret’s bra business. This was driven in part by consumers preferring bralettes, bras with no underwire or padding.

“There was a shift in what female consumers wanted from their underwear and what they were willing to pay. Many younger women didn’t wanna pay $60 anymore for a padded bra that they saw on a supermodel. Many of them preferred stuff like more authentic marketing, natural looks, and bras built for comfort.”

In 2016, Leslie Wexner assumed direct control of Victoria’s Secret. He eliminated swimwear, stopped mailing out catalogs, and doubled down on sports bras. By 2018, L Brands share price had fallen 50%, erasing about $14 billion in investor’s wealth. Victoria’s Secret started to appear out of touch with female consumers around the same time.

“A major stumbling block for Victoria’s Secret was when Ed Razek told Vogue that he didn’t think transgender models should be cast in the fashion show. He was forced to apologize for those remarks, and a lot of people called for his resignation immediately. He actually stayed on a while after that and eventually resigned in 2019.”

Victoria’s Secret’s internal culture and management has come under scrutiny as well.

“Ed Razek, after he left Victoria’s Secret, has faced allegations of harassing models and employees, and Les Wexner has come under fire for his ties to Jeffrey Epstein, who was his longtime money manager.”

Leslie Wexner has said that he cut ties with Epstein more than a decade ago after Epstein was charged with child sex trafficking.

Independent directors on the L Brands Board responded to the sexual harassment allegations in a statement that said the company had instituted robust anti-harassment policies in recent years and the company regrets any instance where we did not achieve this objective of a safe, welcoming, and empowering workplace.

Rezek told the New York Times that the allegations were, quote, “categorically untrue, misconstrued, or taking out of context.”

“Consumers have a very particular idea of what Victoria’s Secret is. It’ll be interesting to see whether a brand that’s married to such a particular type of marketing can transform itself into anything else.”

 

▼▼▼ 단어 확인 하기 

 

더보기

Vocabulary

rating

the estimated audience size of a particular television or radio program.

(텔레비전의) 시청률, (라디오의) 청취율

 

coincide (with)

occur at or during the same time.

동시에 일어나다

 

drastic

likely to have a strong or far-reaching effect; radical and extreme

과감한, 극단적인, 급격한

 

retailer

a person or business that sells goods to the public in relatively small quantities for use or consumption rather than for resale

소매업자, 소매상, 소매업

 

fall from grace

an idiom referring to a loss of status, respect, or prestige

사람들의 신임을 잃다, ~의 위신 추락

 

popularize

cause (something) to become generally liked.

make (something technical, scientific, or academic) accessible or interesting to the general public by presenting it in a readily understandable form.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다, 대중화하다, 보급하다

 

roll something out

officially launch or unveil a new product or service.

(신상품을) 출시하다

 

upend

set or turn (something) on its end or upside down.

(위아래를) 거꾸로 하다[뒤집다]

 

double down

strengthen one's commitment to a particular strategy or course of action, typically one that is potentially risky.

몰두하다. 전념하다

 

provocative

arousing sexual desire or interest, especially deliberately.

(성적으로) 자극[도발]적인

 

recession

a period of temporary economic decline during which trade and industrial activity are reduced, generally identified by a fall in GDP in two successive quarters.

경기불황

 

authentic

based on facts; accurate or reliable.

진짜인, 정확한

 

assume

take or begin to have (power or responsibility).

(권력·책임을) 맡다

 

share price = stock price

the amount it would cost to buy one share in a company. 

주가

 

out of touch (OOT)

lacking knowledge or information concerning current events and developments.

(특정 주제·분야에서 일어나는 일을) 모르다 [이해하지 못하다]

 

stumbling block 

a circumstance that causes difficulty or hesitation.

장애물 

 

come under

be subjected to (pressure or aggression).

(공격·비난을) 받게 되다

*come under fire: 비난을 받다

 

scrutiny

critical observation or examination.

정밀 조사, 철저한 검토

 

allegation

a claim or assertion that someone has done something illegal or wrong, typically one made without proof.

(증거 없이 누가 부정한 일을 했다는) 혐의[주장]

 

charge with

To officially accuse one of a crime

기소하다, 고소하다

 

sex trafficking

the action or practice of illegally transporting people from one country or area to another for the purpose of sexual exploitation.

성매매

 

Independent director

사외이사

 

institute

set in motion or establish (something, especially a program, system, or inquiry).

(제도 정책 등을) 도입하다, (절차를) 시작하다

 

robust

uncompromising and forceful.

탄탄한, 강력한

 

categorically

in a way that is unambiguously explicit and direct.

절대적으로, 단언적으로, 명확히

 

misconstrue

interpret (something, especially a person's words or actions) wrongly.

(남의 말·행동을) 오해하다

 


Step 3. 영상 다시 보기 

 

영상을 한번 보면서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영어 자막을 읽으면서 모르는 표현과 단어를 정리했다면, 영상을 다시 한번 보세요! 

새로 배운 표현이나 발음이 잘 들리는지 영상을 보면서 확인해 보세요. 여러 번 반복해서 영상을 보시는 게 좋습니다!